1 / 1
" 전기트럭"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0-05-18독일 배터리 시스템제조업체인 아카솔(Akasol)에 따르면 2019년 매출액은 €4760만유로로 전년 2160만유로 대비 1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아카솔은 2019년 생산능력 확장을 위해 많은 시설투자를 단행했다. 다름슈타트(Darmstadt) 남쪽에 새로운 생산시설 (Gigafactory 1)을 포함한 새로운 회사 본사를 건설하고 랑겐(Langen)에서의 확장을 결정했다.이 확장공사는 예정보다 6개월 앞서 2020년 1분기에 완료됐다. 또 다른 투자로서 미국 미시간주 헤이젤 파크(Hazel Park)에 200MWh 용량의 생산을 포함한 사이트가 건설되고 있다.전기 도시버스에 대한 계약이 이미 체결됐지만 고객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을 방침이다. 전기 트럭의 경우에는 당분간 단거리 셔틀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향후에 아카솔은 배터리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수소 구동 배터리시스템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아카솔은 훨씬 더 큰 전기트럭 시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ermany-Akasol-Battery▲ 아카솔(Akasol)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0-02미국 글로벌 자동차제조기업인 포드(Ford)에 따르면 전기 자율주행 트럭인 'F-Vision'의 개념을 공개했다.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된 '2018 IAA 상업차량 쇼'에서 모습을 드러냈다.세부 내역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로 구동하며, 레벨 4 수준의 자동운정시스템을 장착한다는 것은 밝혔다. 현재는 개념 수준에 불과하며 생산은 시작하지 않았다.다수의 트럭제조업체들이 전기트럭을 개발하고 있으며 실제 개발에 성공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리딩 전기자동차업체인 테슬라도 '테슬라 세미(Tesla Semi)라는 전기트럭을 생산할 계획이다.참고로 자동차전문가들은 전기승용차를 제조하는 것과 전기트럭을 제조하는 것은 다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화물을 운송하는 트럭은 승용차에 비해 더 큰 출력을 필요하기 때문에 배터리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포드(Ford)의 F-Vision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폐기물관리기업 Waste Management에 따르면 2017년 10월부터 남반구 최초로 쓰레기 수거용 전기트럭을 거리에서 운영할 계획이다.국내 도시 중 크라이스터처치(Christchurch)가 100% 전기트럭을 이용해 생활쓰레기를 수거하는 최초 도시가 될 예정이다.최근 전기트럭의 시연을 실시했는데 2017년 연말까지 전국에 걸쳐 더 많은 도시로 쓰레기 처리용 전기트럭을 확대 운용할 방침이다.Waste Management는 쓰레기 매립장을 완벽하게 관리해 배출가스의 95%이상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생산된 전기는 1만8000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분량이다. ▲Waste Management 로고
-
일본 산업용엔진제조업체 미쓰비시후소(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는 2017년부터 일본, 미국, 유럽 등에 전기만으로 달릴 수 있는 소형트럭을 출시할 예정이다.해당 트럭은 도시를 중심으로 단거리 운송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항속거리는 최대 3톤으로 화물을 실을 경우 약 100킬로미터다.당사는 국내 도심을 중심으로 달리는 소형트럭 약 80%의 1일 배송거리는 50킬로미터로 잠재 수요가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전문가들은 향후 항속거리, 가격, 교통 인프라 등의 조건까지 충족돼야 전기트럭의 글로벌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미쓰비시후소 홈페이지
-
일본 산업용엔진제조업체 미쓰비시후소(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는 2017년부터 일본, 미국, 유럽 등에 전기만으로 달릴 수 있는 소형트럭을 출시할 예정이다.항속거리는 최대 3톤 화물을 실을 경우 약 100킬로미터로 도시를 중심으로 단거리 운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에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도심 배송거리는 50킬로미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
일본 운송기기업체인 미쓰비시후소는 2016년 4월 독일 남부의 슈트투가르트시에서 모회사인 독일 자동차업체 다임러와 소형 전기트럭인 '캔터 E-CELL'의 실용시험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남부 지역의 독일 물류업체에 5대의 전기트럭을 1년간 제공해 도시 내의 단거리수송 등 보급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다. 물류업체는 배송 외에도 도로 공사용 덤프 및 쓰레기 수거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캔터 E-CELL'은 이미 2015년 포르투갈에서 디젤 차량 대비 64%의 운영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사용 시험을 마친 적이 있다.한편 미쓰비시후소는 다임러그룹에서 전기차 개발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는 업체로 하이브리드 기술을 포함해 총 50억 엔에 달하는 개발비를 투자해왔다.▲ mitsubisi▲ 미쓰비시후소 CANTER차량 (출처 : 미쯔비시후소 홈페이지)
-
일본 운송기기업체인 미쓰비시후소(三菱ふそう)는 2016년 4월 독일에서 모회사인 자동차업체 다임러와 소형전기트럭인 '캔터 E-CELL'의 실용시험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2015년 포르투갈의 실용시험에서는 디젤 차량 대비 65%의 운영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