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트랙터"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인도 트랙터 제조사인 소날리카 트랙터(Sonalika Tractors)에 따르면 2022년 5월 트랙터 판매 대수는 1만2615대로 전년 동월 8878대 대비 42.1% 증가했다. 트랙터 판매 증가의 주요인은 고급 트랙터에 대한 수요가 계속 늘어났기 때문이다. 2가지의 새로운 트랙터를 선보임으로써 지역 중심의 맞춤형 트랙터 판매 범위를 확대시켰다.'12F+3R 변속기를 장착한 시칸데르(Sikander) RX 50 트랙터' 는 마디아프라데시 농민을 위해, 'MM 18 내로우 트랙(Narrow Track) 트랙터'는 과수원과 포도밭을 일구는 구자라트 농민을 위해 특별히 출시됐다.소날리카 트랙터는 특정 농가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기능성 트랙터를 출시해 농가의 신뢰를 얻고 농사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도록 노력한다.▲소날리카 트랙터(Sonalika Tractors) 홈페이지
-
2021-07-05중국 드론제조업체 XAG에 따르면 지난 6월 30일~7월 1일 개최된 영국의 농업기술 박람회 시리얼즈(Cereals)에서 영국으로 진출하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영국의 농가는 부족한 인력 문제와 강화된 환경 규제에 따라 중대형 농기계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농업용 드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XAG가 영국 시장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다.XAG는 농업용 드론을 제조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자동식 살충제 살포, 자율비행 기술, 농작물 검사 등 농업과 관련된 드론 기술을 전문적으로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다.특히 로봇기술이 집약된 지상형 드론 R150 모델은 작물과 같은 높이에서 제초제를 살포할 수 있어 영국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적정량을 조절하고 작물 안쪽까지 살포하기 때문에 비용 및 작업 측면에서 효율적이다.연료식 중대형 트랙터와 달리 탄소배출이 없는 배터리형 드론은 친환경 기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불필요한 살충제의 낭비를 줄이고 농토의 마모가 훨씬 적다는 점에서 드론의 효용성이 부각되고 있다.참고로 XAG는 2021년 3월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농경지대를 중심으로 살포용 드론을 투입하고 있다. 정부와 함께 농림지 생태 관리에 드론을 투입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며 오는 9월까지 예정돼 있다.▲XAG의 지상형 살포 드론 R150(출처 : 홈페이지)
-
2021-07-02미국 농업용 드론제조업체 드론 파머스(Drone Farmers)에 따르면 야외 대마(cannabis) 재배에 적합한 농업용 드론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덴버시에 소재한 드론 파머스는 본래 항공사진 및 측정학을 전문 사업으로 영위했다. 이후 드론 기술과 접목하면서 현재는 토지 측량, 작물 정밀검사, 비료 및 살충제 분야로 사업 영역을 전환했다.합법적으로 대마 재배가 허용된 지역 중 야외 재배지는 환경적 영향은 물론 해충으로부터 매우 취약하다. 특히 농부들이 직접 토양과 작물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는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드론 파머스는 농업용 드론을 대마 경작지에 투입시킨다. 기존 항공사진 측정술을 적용해 토양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다. 토양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비료를 선정하고 양을 조절할 수 있다.작물 상태는 해충이 감지되는 규모에 따라 살포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자율비행모드로 야간에 살포 작업을 수행한다.현재 농가에서 사용하는 대형 분무기는 부대 장비를 포함해 1대당 US$ 50만~70만달러에 달한다. 반면 드론은 2만5000달러면 분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훨씬 경제적이다.글로벌 드론산업을 연구하는 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최근 몇 년간 농업용 드론은 인공지능(AI), 사진측정학, 로보틱스 등 다양한 첨단기술과 접목되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며 "특히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측면에서 드론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농경지에서 작업 중인 농업용 드론과 트랙터(출처 : 드론 파머스)
-
2021-06-03미국 농업용 드론 개발업체 렌티조(Rantizo)에 따르면 3대의 농업용 자율비행드론을 동시에 투입해 농경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기존에는 1대의 드론을 조종사의 가시권 내에서 자율과 수동모드로 운영했다. 드론 1대당 14에이커(약 1만7000평) 면적에 파종 작업과 제초제 살포가 가능했다.렌티조 개발팀은 좀 더 효율적이고 광범위한 면적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군집 드론 형태의 자율비행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현재는 3대의 자율비행드론이 혼선 없이 동시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농업용 드론이 점차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것은 농촌에서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력 대비 높은 작업 효율성과 토양 상태와는 무관하게 작업이 가능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다.렌티조 본사가 소재한 아이오와주는 폭우로 인해 농가의 피해가 상당한 지역이다. 폭우 이후 취약해진 토양에 트랙터나 수동 분무기로 작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때 공중에서 지상 작업이 가능한 드론이 투입되는 것이다.렌티조는 중국 드론개발업체 DJI의 농업용 드론 Agras 시리즈를 개조해 미국 현지에 적합한 농작업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미 40여개의 협동조합 및 농기업에서 렌티조의 드론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참고로 렌티조는 2021년 5월 농업용 군집 드론에 대한 연방항공청(FAA)의 허가를 획득했다. 또한 19개 주정부로부터 동일한 명목으로 인증을 받았다.▲렌티조의 농업용 드론(출처 : 홈페이지)
-
2018-11-23영국 농업기술 스타트업인 스몰로봇컴퍼니(Small Robot Company)에 따르면 세계 최초로 농업용 디지털 드릴링 로봇인 해리(Harry)를 개발했다.최근 몇 년 동안 농업비용은 연간 10~12 % 증가했다. 특히 기계류와 관련해 농부들에게 훨씬 부담이 되어왔다. 예를 들어 큰 트랙터는 효과적이지만 환경에 해를 끼치고 비효율적이다.해리는 1.8미터짜리 거미 모양의 로봇으로 접고 펼수 있다. 운전자없이 균일한 깊이로 씨앗을 심고 최소의 토양 피해를 주는 초정밀 드릴을 농부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해리는 개별 씨앗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를 윌마(Wilma)로 명명된 스몰로봇컴퍼니의 인공지능(AI) 플랫폼에 제공해 식물마다 작물지도를 산출하도록 한다.윌마(Wilma)의 지시에 따라 농장봇은 필요한 식물에만 사료를 공급한다. 또한 스프레이로 화학 물질 및 배출물을 최대 95%까지 절삭해 완벽한 영양소 및 지원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인공지능 주도 운영체제는 농부들에게 농작물과 토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지식을 제공해 보다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참고로 해리 프로토 타입은 IET(Institut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및 HVMC(Horizontal Innovation Award)상을 수상한 바 있다.▲ UK-SmallRobotCompany-Harry-homepage▲ 스몰로봇컴퍼니의 해리(출처 : 홈페이지)
-
2016-03-15[일본] 정부, 2020년까지 트랙터·콤바인 등의 ‘농기계자동주행’ 실용화 계획... 농지경작의 자동화위해 자동주행시스템 개발 및 도로교통법 개정검토 병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