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cafe"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8-12-18일본 로봇제조업체인 오리랩(Ory Lab)에 따르면 장애인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되는 로봇을 레스토랑의 웨이터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원격제어되는 로봇 명칭은 OriHime-D이다.로봇은 1.2 미터 높이로 서 있으며 표정이 없는 하얀 얼굴을 갖고 있다. 로봇은 자신이 보고 있는 상황에 관련된 비디오 및 오디오를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해 로봇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총 5대의 로봇이 테스트에 사용됐으며 장애인의 사회적 고립을 막기위해 첨단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됐다.가장 흔한 운동신경 세포질환인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을 비롯한 10가지 유형의 질환을 가진 팀에 의해 제어됐다. 매우 제한된 이동성을 가진 사람들조차도 로봇과 상호작용하고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미국 MIT대학의 연구원들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컴퓨터와 자동으로 대화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알터에고(AlterEgo)라고 불리는 웨어러블 장치는 전극을 사용해 턱과 얼굴의 미묘한 신경근육 신호를 감지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Japan-Orylab-robot▲ 오리랩의 OriHime-D(출처 :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보안소프트웨어회사인 맥아피(McAfee)에 따르면 2018년 2분기 가상통화 마이닝 악성코드는 250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8년 1분기에는 290만건이 발견됐으며 전분기 대비 629% 증가했다. 2017년 4분기에는 40만건에 불과했기 때문이다.가상통화를 공격하는 악성코드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블록체인과 가상통화에 대한 인기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와이파이(Wi-Fi) 라우터,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의 보안취약성이 해커들의 공격대상이 되고 있다.악성코드 조사와 연구활동 관련 업무는 안티 멀웨어전문연구소이며 자회사인 맥아피랩(McAfee Labs)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로 맥아피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거대 정보보호업체이다.▲맥아피(McAfee)의 창업자 존 맥아피(출처 : 위키피디아)
-
싱가포르 차량공유업체 그랩(Grab)에 따르면 2017년 11월 당사의 전자결제시스템 '그랩페이(GrabPay)'가 25개 소매업체와 전자지불사용에 따른 제휴를 체결했다.본래 그랩페이의 주기능은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한 요금결제다. 당사는 전자결제의 범용성을 고려해 고객들이 국내 상점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우선 A Poke Theory, Cafe Zeppin, Napolean Wine Bar 등 주요 요식업종과 제휴했다. 올해 말까지 1000여개 상점과 제휴를 통해 그랩페이의 결제범위를 늘려나갈 예정이다.그랩페이앱(App)가 설치돼 이용 중인 고객은 이미 본인의 기본정보와 카드계좌가 등록돼 있다. 때문에 결제가능 상점에서 QR코드를 통해 손쉽게 결제정보를 확인받을 수 있다.당사 경영진들의 그랩페이 결제가능상점 최종목표는 2만개 이상이다. 현재 빠른 확산성을 위해 첫 6개월간 상점에 부과되는 거래수수료를 면제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그랩페이(GrabPay) 소개 홈페이지
-
▲ 미국 IT기업 구글(Google) 빌딩 [출처=iNIS]미국 IT기업 구글(Google)은 9월 27일 화요일 쇼핑몰, 버스, 철도역, 카페 등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 인터넷 서비스를 론칭했다고 밝혔다.시간당 1만명의 시민들이 구글의 무료 와이파이 인터넷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2G폰이나 일부 데이터 부족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현재 구글은 인도 전역의 53개 기차역에서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100개로 늘릴 계획이다. 구글은 무료 인터넷 서비스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으로도 확장할 예정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