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건립"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미국 전국전기도로연합(National Electric Highway Coalition, NEHC)에 따르면 2023년말까지 미국 주요 여행 경로를 따라 전기 자동차 급속 충전 포트를 설치할 계획이다.NEHC는 투자자 소유 전기회사 51개, 전기 협동 조합 1개, 테네시 밸리 당국으로 구성된 조직이다. 모든 미국 투자자 소유 전기기업을 대표하는 EEI(Edison Electric Institute)가 NEHC의 구성을 발표했다.또한 EEI는 2030년 말까지 2만2000대의 전기자동차가 미국 도로를 운행할 것으로 예상한다. EV 고속 충전 포트는 현재보다 10배 많은 10만개 이상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미국 조 바이든(Joe Biden) 대통령은 1조2000억 달러의 인프라 법안에서 충전 네트워크에 75억달러를 배정했다. 2030년까지 50만개의 EV 충전소를 건립해 전기자동차 보급대수가 연간 차량 판매 대비 50%가 되길 희망했다.미국 행정부는 전기차 충전기 설치에 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25억달러 규모의 충전 및 연료 공급 인프라 프로그램은 EV 스테이션, 수소, 프로판, 천연 가스 인프라 시설을 지원한다.▲ EEI 홈페이지
-
2021-11-16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경기 부양 계획의 일환으로 칩과 배터리 부분을 강화할 계획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의 고통을 완화하고 경제를 살리기 위한 '수십조 엔' 규모의 경기 부양책의 일부이다.1980년대 세계 1위 산업이었던 일본의 칩 제조 부문은 지난 30년 동안 꾸준히 쇠퇴했다. 디지털 투자의 부족때문이다.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디지털 투자를 활성화해 코로나 이후 시대의 성장을 견인할 방침이다. 정부는 배터리를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건립하기 위한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특히 정부는 세계 1위 칩 파운드리 제조업체 TSMC가 일본 전자 장치 제조업체와 자동차 제조업체에 칩을 공급할 공장을 건설하길 희망하고 있다.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마찰이 공급망을 손상시키고 핵심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계획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적절히 혼합해 반도체, 코로나19 백신 및 의약품 생산 기지의 건설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산업성(??産業省)빌딩(출처 : 위키피디아)
-
2021-02-25미국 ICT기업인 델(Dell Technologies)에 따르면 US$ 5000만달러를 투자해 싱가포르에 연구개발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에지 컴퓨팅에서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이다.에지 컴퓨팅은 '중앙 집중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다르게 분산된 소형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일컫는다.에지 컴퓨팅기술은 급성장하는 영역으로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센서와 같은 디바이스나 컴퓨터를 포함한다.에지 컴퓨텅이 없다면 수집된 모든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업로드해야 하며, 그렇게 처리할 경우에는 비용을 더 많이 투입해야 한다.디자이너, 개발자, 전략가 등을 포함해 16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 싱가포르 내국인을 고용할 방침이다.▲델(Dell Technologies)의 행사 장면(출처 : 홈페이지)
-
2020-04-21중국 IT 대기업 텐센트(腾讯, Tencent)에 따르면 총 150억위안을 투자해 창산쟈오(长三角, 양쯔강 삼각주)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센터 및 산업기지를 상하이시 쑹장(松江)구에 건설하기로 결정했다.약 236이랑(亩, (1亩=0.067ha, 200평))의 부지에 7kW효율 케이스2만5000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향후 100개 기업 규모의 인공지능 산업단지로 육성할 방침이다.쑹장지역은 광범위한 산업과 강력한 제조기반을 갖추고 있다. 최근 들어 산업체인 투자 혜택, 산업정책 지원을 통해 첨단 제조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지역의 수많은 디지털 제조기업들이 향후 텐센트의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센터의 주요 고객이 될 전망이다. 참고로 중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두뇌인 인공지능에 대한 정책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Tencent▲ 텐센트(腾讯, Tencent) 홈페이지
-
2019-02-14프랑스 정부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 유럽 전기자동차 배터리 산업을 활성화하는 프로젝트에 €7억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지배적인 아시아 경쟁국가에 자동차 메이커들이 의존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특히 프랑스 자동차 업계가 아시아 및 미국 기술대기업의 전기자동차(EV) 및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경쟁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현재 글로벌 자동차용 배터리시장은 중국의 CATL, 한국의 LG화학과 삼성SDI를 포함한 소수의 기업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반면에 유럽은 자동차용 배터리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해당 계획은 2018년 11월 독일이 배터리 셀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10억유로의 예산을 배정한 이후에 나온 것이다. 프랑스와 독일에서 각각 2개의 공장이 건립될 예정이다.푸조 브랜드 제조사인 PSA는 2018년 3월 유럽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지한 바 있다. 르노(Renault)는 전기자동차 생산이 증가하면서 유럽 공급업체로부터 배터리 셀을 구매할 수 있다고 밝혔다.그동안 르노는 LG화학으로부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공급 받아왔다. 프랑스 정부의 계획에는 전기차량 충전 포인트 건설도 포함돼 있다.또한 전기자동차의 보너스에 대한 가시성의 증가와 정부의 전기차량 구매 목표의 증가도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 유럽 전기자동차 배터리 부문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France-Government-EVBattery▲ 'Choose France'정상회담에서의 마크롱 대통령(출처 : 홈페이지)
-
2018-08-28중국 공업정보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까지 글로벌 산업용 로봇시장 점유율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려 제조업의 체질을 변화시킬 계획이다. 선진국과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업용 로봇의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이다.2016년 정부는 '로봇산업개발계획 2016~2020'을 수립해 2020년까지 국내 기술로 연간 10만대의 산업용 로봇을 제조하겠다는 구상을 창안했다.현재 중국은 세계 4위의 산업용 로봇시장이다. 2016년 기준 중국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은 9만대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전체 글로벌 시장의 30%를 차지한다.대표적인 산업단지는 베이징-텐진-허베이(징진지) 지역으로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양쯔강 델타지역인 주장삼각주에도 700개 이상의 업체가 연간 750억위안 상당의 산업용 로봇을 생산한다.정부는 로봇산업에 특화된 산업단지를 40개 이상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지역별로 보면 동북지방은 로봇산업을 육성하는데 한계가 있는 반면 중서부 지역은 로봇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중국의 산업용 로봇 보급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지만 보급율은 아직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 2016년 기준 근로자 1만명당 69대에 불과해 일본, 독일, 미국 등 선진국과 격차는 큰 편이다.2017년 3월 기준 직접적으로 로봇제조에 관련된 기업은 800개에 달하고, 2017년 말까지 6500개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국내 로봇제조업체는 SIASUN, DJI 등이다.해외 기업들도 국내 자회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데 Nachi-Fujikoshi, KUKA, Reis Robotics, Staubli, ABB 등이 대표적이다. 대만의 폭스콘(Foxconn)도 대표적인 산업용 로봇제조업체이다.산업용 로봇을 제조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커지고 있는 중국시장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어 중국 정부의 계획은 무리 없이 달성될 것으로 판단된다.중앙정부의 방침에 따라 지방정부도 세부계획을 수립해 실천하고 있다. 천진시공업정보위원회에 따르면 로봇산업을 진흥을 위한 3개년 행동계획을 발표했다.2018년부터 2020년까지 계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산업 규모를 200억위안으로 키울 방침이다. 행동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로봇산업을 대표하는 10개 분야를 육성해 정부의 '중국제조 2025'를 뒷받침하겠다는 전략이다.참고로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은 산업용 로봇 15만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될 경우에 현장에서 가동되고 있는 중국의 산업용 로봇은 95만대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산업용 로봇(출처 : 차이나브리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