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재사용"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3-05-30▲ 일본 풍력발전회사인 유라스에너지홀딩스가 운영하는 풍력발전단지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최대 전력사업자인 도쿄전력홀딩스(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도요타자동차와 공동으로 정치형축전지시스템을 개발했다.도요타자동차의 전기자동차(EV) ''bZ4X' 60대 분의 전지를 케이블로 연결해 축전지시스템을 제작했다. 출력은 1000킬로와트, 용량은 3000킬로와트로 일반 가정 300가구가 1일 동안 사용할 수 있다.도쿄전력은 개발된 축전지시스템을 유라스에너지홀딩스가 건설한 풍력발전소에 설치할 방침이다. 2023년 가을경부터 전력수급에 따라 충방전을 반복하는 실증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다.시장 가격이 저렴한 시간대에 발전한 전기를 충전해 가격이 높은 시간대에 판매하는 등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해당 풍력발전소는 아키타현 가가시에 있다.EV용 전지는 수명이 10~15년에 불과하며 10년 정도 사용하면 축전성능이 약 30% 감소한다. 따라서 도요타자동차는 EV에서 폐기되는 전지의 재활용과 재사용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도요타자동차는 폐기되는 EV 전지를 재활용하거나 중고 전지를 사용한 축전지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기업의 ESG(환경·사회·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자동차제조사인 폭스바겐 SA(VWSA)에 따르면 이스턴 케이프(Eastern Cape)에 있는 카리에가(Kariega) 공장의 환경발자국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2가지 프로젝트를 시행한다.첫 번째 프로젝트는 폐수 재활용 시설인 데 공장 현장에 건설됐다. 이 시설은 다양한 생산 지역의 생산 관련 폐수를 재활용해 특정 생산 공정에서 재사용할 것이다.폭스바겐 SA의 물 소비량을 26%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역에서 계속되는 가뭄 속에서 카리에가 공장은 당국의 수도물 공급 의존도를 줄일 수 있게 됐다. 이스턴 케이프는 물 부족 위기로 인해 당국이 도내 마을과 도시에 '수도물 공급 중단' 조치를 자주 시행하는 상황이다.두 번째 프로젝트는 재생 가능한 탄소중립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건물의 지붕에 태양광 패널 총 3136개를 설치해 재생 에너지 2500MWh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기 태양광 패널은 매년 259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환경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2가지 프로젝는 2030년까지 환경을 보존하고 탄소 중립 생산이라는 기업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폭스바겐 SA는 독일 글로벌 자동차제조사인 폭스바겐의 남아공 법인이다.▲폭스바겐 SA(Volkswagen Group South Africa, VWSA) 홈페이지
-
2022-05-26영국 글로벌 회계법인인 딜로이트(Deloitte)에 따르면 향후 6개월 동안 런던 사무실의 리모델링 프로젝트가 급증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런던 사무실 리모델링 프로젝트들은 신축 건물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정부 및 환경단체는 건물에 대한 재사용과 재활용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가장 기대되는 프로젝트는 세인트 폴 대성당 근처 뉴게이트 스트리트 81번지, 72만9000 평방피트 규모, BT의 본사 이전 재개발이다.1980년대에 지어진 건물로 2025년 봄까지 대폭 개조될 예정이다. 지속가능성 자격 증명이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런던은 건물의 재건축보다는 리모델링이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의회를 통과하고 있는 새로운 최소 에너지 효율 법안 기준에 합당하도록 건물의 리모델링이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 소유자와 개발업자가 건물의 에너지 성능 향상을 위해 노력함에 따라 장기 런던 사무실 임대 사업 전망은 여전히 밝을 것으로 분석된다.낡고 오래된 런던 사무실의 80%는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매년 1500만 평방피트나 되는 규모다.2022년 5월 넷째주 기준 지난 6개월 동안 런던은 36개의 건물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이 중 31개는 건물 리모델링이었다. ▲딜로이트(Deloitte) 로고
-
2022-03-30영국 왕립 조폐국(Royal Mint)에 따르면 전자 폐기물로부터 금을 회수할 예정이다. 동전과 골드바를 제작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2023년부터 웨일즈 남부의 란트리산트에 있는 왕립 조폐국의 새로운 공장은 노트북과 휴대폰 등의 회로기판으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기 시작한다.매주 최대 90톤의 국내산 회로기판을 처리해 연간 수백 kg의 금을 회수해 동전, 골드바, 기타 제품에 재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회로기판의 99%는 제련소에서 고온으로 가공하기 위해 해외로 출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 폐기물의 양은 매년 증가하고 있어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국내에서 매년 30만톤 이상의 전자제품이 폐기되고 있다. 팔라듐을 비롯한 귀금속 95톤은 불필요한 전자폐기물품에서 재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왕립 조폐국은 최종적으로 구리, 주석, 강철 및 알루미늄과 같은 비금속과 함께 은을 회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엔(UN)은 매년 전 세계에서 재활용되는 전자폐기물은 20% 미만으로 추산한다. ▲왕립 조폐국(Royal Mint) 홈페이지
-
독일 마이크로모빌리티 제공업체인 티어 모빌리티(Tier Mobility)에 따르면 배터리 스타트업기업인 버티칼 밸류(Vertical Values)와 협력해 전자 스쿠터 배터리를 수리하고 업사이클링을 진행할 계획이다.재사용 및 순환 경제를 통해 환경 영향을 줄이는 목적이다. 2021년 베를린에 설립된 버티칼 밸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두 번째 생명을 주어 지속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특히 버티칼 밸류는 결함이 있는 배터리를 수리하거나 고장난 전기스쿠터에서 배터리 셀을 추출 및 분류할 수 있다.이와 같이 전기 배터리는 원래 충전량의 70~80%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폐기되어 업사이클링의 주요 대상이다. 각 배터리에는 서로 다르게 노화된 수백 개의 셀이 포함되기 때문이다.분류된 배터리 셀은 용도가 변경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돼 수명이 연장된다. 배터리는 수백 번의 충전 후에도 여전히 용량의 80% 이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배터리 재사용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티어 모빌리티와 버티칼 밸류는 배터리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마이크로 모빌리티 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할 계획이다.▲티어모빌리티(Tier Mobilit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2-28프랑스 전기자전거 배터리 제조업체인 구아슈(Gouach)에 따르면 새 펀딩 라운드에서 €330만 유로를 모금했다. 투자금은 마이크로 모빌리티 부문에 배터리를 판매하고 팀을 확장하는 데에 사용될 계획이다.구아슈의 배터리는 10분 이내에 수리할 수 있으며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배터리의 노후화를 방지해 마이크로 모빌리티 배터리의 탄소 발자국을 70%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한 전지를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여 자전거의 순환 경제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아슈는 전기 자전거 및 스쿠터 시장의 유일한 프랑스 업체인 포니(Pony)와 함께 스마트 배터리를 테스트하고 있다.이 테스트는 18개월의 연구 개발 단계 및 인증 획득 후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추적하고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장애 발생 시 경고와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배터리 사용에 대한 데이터는 충전 지점에서 운영자가 수집할 수도 있다. 이번 펀딩을 통해 구아슈는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아슈(Gouach)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3-18독일 글로벌 종합화학회사인 바스프(BASF)에 따르면 핀란드에서 전기자동차 배터리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재활용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프로젝트는 러시아 광물기업인 노르니켈(Nornickel)과 공동으로 핀란드 하르야발타(Harjavalta)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재활용 센터는 재생가능 에너지로 구동되는 수력 야금 공정을 사용한다.전기자동차의 수가 2018년 63% 증가해 5 백만대까지 급격히 증가했다. 2030년에는 전 세계의 전기자동차 수가 1억3천만대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재사용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바스프는 배터리 재료 전구체 공장에서 회수된 재료를 재사용할 방침이다. 특히 고에너지 밀도의 양극 활성화 물질 및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고효율 리튬 추출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다.니켈과 코발트를 회수할 수 있는 화학적 침전기술이 포함돼 있다.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의 재료 회수율을 50%에서 80%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이를 통해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귀금속을 재활용해 코발트, 니켈 및 주요 금속의 공급을 보완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ermany-BASF-Battery▲ 바스프(BASF)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기술회사인 윈선빌딩테크닉(盈创建笻科技)에 따르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 바이러스 검역실을 제작했다. 지금까지 15개를 만들어 후베이성(湖北省)의 시안닝(鹹寧)시에 위치한 병원에 기증했다.각각의 크기는 10평방 미터로 침대 2개에 충분한 크기이다. 열 보존 및 격리에 필요한 표준을 충족하며 강한 바람과 지진에도 견딜수 있도록 설계됐다.특히 3D 프린트된 검역실은 이동성이 뛰어나고 설치가 쉬우며 전원에 연결되는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독하기 쉽고 전염병이 끝나면 재사용될 수 있다.이와 같은 검역실은 2시간 내에 프린팅될 수 있고, 1대의 프린터기는 하루 15개의 검역실을 생산할 수있다. 기본 비용은 약 ¥28,000위안이다.중국에서 발생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국 병원의 병실 수요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수요를 회사가 개발한 3D 프린팅 기술이 해결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na-WinSunBuildingTechnique-3Dprint▲ 윈선빌딩테크닉(盈创建笻科技)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2-12프랑스 로켓발사 전문기업인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에 따르면 유럽집행위원회(EU Commission)로부터 유럽투자은행(European Investment Bank)을 통해 €1억유로의 투자를 받았다.해당 자금은 10년 동안 유효하다. 상환은 아리안스페이스의 차세대 '아리안식스(Ariane 6)' 로켓의 예상되는 상업적 성공에 좌우된다.상업적, 정부 및 과학적 임무에 발사 시설을 제공하는 유럽의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재사용 가능한 로켓'에 대한 장기 계획 및 프로젝트의 핵심은 부품의 3D 프린팅 및 보다 효율적인 생산/관리와 같은 비용 절감에 있다.또한 회사는 론칭 속도를 매년 12개로 늘려 상업수익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상업적인 우주여행 및 우주기술의 개발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참고로 아리안스페이스는 에어버스와 프랑스의 사프랑(Safran)간의 합작투자 자회사이다. 회사의 주요 경쟁자는 엘론머스크(Elon Musk)의 스페이스엑스(SpaceX)이다. ▲ France-Arianespace-3Dprint▲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1-09캐나다 신발 회사인 네이티브슈즈(Native Shoes)에 따르면 미국 MIT대의 셀프-어셈블리랩(Self-Assembly Lab)과 제휴하여 가장 인기있는 신발 디자인의 3D 프린트 토우를 개발했다.개발된 신발은 특허받은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해 액체 고무로 프린팅된다. 신발은 처음에 컴퓨터에서 디자인되어 재사용 가능한 수성 젤 포뮬러의 용기에 직접 프린팅된다.신발 재료는 에밀리 카 아트 앤 디자인대(Emily Carr University of Art and Design)와 공동으로 개발했다. 신발 재료는 부분적으로 EVA 재생수지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acetate)로 만들어진다.특히 이 재료는 유연하고 고무 같은 재질로서 회사의 사출 모듈형 신발 생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액체 프린팅 공정을 통해, 신발은 사출 성형 방법이 허용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50% EVA 재생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액체 프린팅된 신발은 주문형으로 제작된다. 향후에는 3D 프린팅을 이용한 신발 생산이 보다 대중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anada-NativeShoes-3Dprint▲ 네이티브슈즈(Native Shoe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