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금속 3D프린터"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독일 다국적 3D프린터제조업체인 에스엘엠솔루션즈그룹(SLM Solutions Group)에 따르면 12개의 레이저가 장착된 새로운 금속 3D 프린터를 출시했다.3D 프린터는 동시 다중 레이저 기능 덕분에 단일 레이저 시스템보다 20배 빠른 성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레이저 출력은 적층제조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제조를 위한 획기적이며 중요한 진전으로 분석된다.새로운 줌 기능을 이용해 12개의 광학 장치가 이중 렌즈 시스템을 통해 스팟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다양한 스팟 크기 중에서 선택하고 빌드 속도를 최대 1000cc/h까지 높인다.또한 적층제조시에 연속 생산이 가능하도록 공급망이 완전히 통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빌드 실린더 교환, 빌드 시작, 외부 예열 및 분말 제거 스테이션을 포함한 자동화 기능이 개발됐다.특히 최적화된 챔버 설계 및 특허받은 소결벽 기술(sinter-wall technology)과 함께 새로운 가스 흐름 설정이 추가됐다. 이와 같이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Germany-SLMsolutionsGroup-3Dprinter▲ 에스엘엠솔루션즈그룹(SLM Solutions Group)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09-20독일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쳋인 폭스바겐(Volkswagen)에 따르면 차량부품의 대량제조에 3D 금속프린터를 활용하기로 결정했다.초기에는 소규모 부품을 소량생산하지만 점차 크기나 수량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연간 10만개 정도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3D 금속프린터로 브레이크 일부 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중이다. 글로벌 프린터제조업체인 HP 등과 기술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프린터사업은 HP는 주요 3개 사업군 중에 하나로 중요하다.아직까지 기술개발이 더디게 진행하고 있어 대규모 부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표준화된 부품에 한정되어 있지만 향후에는 고객 개개인에 특화된 부품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3D프린터와 제작한 차량부품(출처 : 국가정보전략연구소)
-
일본 공작기기제조업체 마츠우라제작소(松浦機械製作所)는 2016년 대형금속부품을 만드는 금속3D프린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드럼통 크기에 해당하는 용량 180리터의 공작물까지 제조가 가능해 국내외에서 항공기 및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수요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2016-06-14일본 차세대 3D적층조형기술종합개발기구인 TRAFAM은 2017년 9월부터 차세대금속 3D프린터를 사업화한다고 발표했다.대량생산의 투입은 2018년 말 이후이지만 시험판으로도 이미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확보했기 때문에 요청이 있는 곳부터 판매를 시작하기로 결정한 것이다.판매하는 곳은 ▲미쯔비시중공업 ▲도시바와 도시바기계 ▲니혼덴시로 각각 개발한 3개 기종이 될 전망이다. 각 업체가 자사 또는 자회사를 통해 판매한다.모든 개발이 진척했기 때문에 사업화를 앞당겼으며 가격은 1억엔 정도이다. 3개 기종을 통합해 연간 30대 전후의 판매를 전망하고 있다.TRAFAM은 3개 기종 모두 시험작품 시점에서 조형속도가 시간당 250cc로 높은 성능을 확보했고 이 단계에서도 구입을 원하는 사람이 있었다고 설명했다.2018년도 말까지 완성할 예정인 양산판은 보다 빠르고 정밀화되며 가격도 5000만엔 이하로 낮출 방침이다.미쯔비시중공업 도시바와 도시바기계가 개발한 2개 기종은 레이저메탈디포지션(LMD)방식이며 니혼덴시의 개발품은 셀렉티브레이저멜팅(SLM)방식을 채용했다. 티타늄계열과 인코넬계열 등의 재료에 대응한다.TRAFAM에서는 그 외에도 2개 기종을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 이것들도 실용화의 목표가 잡히는 대로 판매를 검토할 계획이다.현재 금속3D프린터로 잘 알려진 업체는 SLM방식을 채용한 독일의 이오스와 스웨덴의 아캄 등이 있다. 조형속도는 시간당 100cc이하로 가격은 1억엔 전후의 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TRAFAM은 경제산업성을 필두로 해서 2014년에 발족한 산학관으로 구성된 기술연구조합이다. 현재 조합원은 32개 법인으로 2016년부터 도요타자동차가 유저기업으로 새롭게 참가했다.▲ 1▲분말적층용융법에서 레이저 용융을 통해 제작한 제품(출처: TRAFAM)
-
일본 차세대 3D적층조형기술종합개발기구인 TRAFAM은 2017년 9월부터 차세대금속 3D프린터를 사업화한다고 발표했다.대량생산의 투입은 2018년 말 이후이지만 시험판으로도 이미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확보했기 때문에 요청이 있는 곳부터 판매를 시작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
[일본] 히타치제작소(日立製作所), 토호쿠대학 금속재료연구소와 금속용 3D프린터 이용한 하이엔트로피합금(HiPEACE) 적층조형기술 개발... 인장강도·내마모성·산&알카리환경에서 내식성 탁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