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메탈"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12-29영국 가수이자 영화배우 오지 오스본(Ozzy Osbourne)에 따르면 9666개의 'Cryptobatz' NFT 출시를 통해 암호화 산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오지 오스본은 그의 매니저이자 아내 샤론 오스본(Sharon Osbourne)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Bored Ape NFT를 구매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거절 당한 후 NFT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크립토바츠(Cryptobatz)를 구매하는 고객들은 다른 컬렉션으로 변이하는 뮤턴트바츠(MutantBatz)라는 새로운 NFT를 만들 수 있다.1982년 1월 20일 오지 오스본은 아이오와주 디모인(Des Moines) 재향군인기념강당에서 콘서트 중 살아있는 박쥐의 머리를 물어 뜯었다. 이후 오지 오스본은 청중이 던진 장남감이라고 생각했다고 주장했었다.참고로 NFT시장에 진출한 헤비메탈 뮤지션으로 메가데스(MEGADETH), 어벤지드 세븐폴드(AVENGED SEVENFOLD), 슬립낫(SLIPKNOT), 잉베이 말름스틴(Yngwie Malmsteen) 등이 있다.▲ 오지 오스본(Ozzy Osbourne)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
2021-07-08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 BSTARCOM, (주)올포랜드 등 20개 업체를 소개했다.다음 20개 기업은 해양드론기술, (주)케이씨에스, (주)엠지아이티, (주)유시스, 엔젤스윙, (주)케이프로시스템, (주)공간정보, (주)헬셀, (주)하이텍알씨디코리아, (주)다온아이앤씨, (주)아르고스다인, (주)소끼아코리아, 우림텍, 요요인터랙티브, 라이카 지오시스템즈 코리아, ㈜엑스퍼넷, 태경전자(주),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베이리스(BEYLESS), 에이디시스템 등이다.그리고 (주)지오시스템, (주)인투스카이, 토탈측기솔루션, (주)웨이브랩스, 한국전기연구원, (주)효원파워텍, 에스아이오티(주), (주)지오테크시스템, (주)유에프오어스트로넛, UVify, 영인모빌리티(주), (주)볼시스, 에이미파이, (주)디투이노베이션, (주)케바드론에 이어 56번째로 인천산학융합원을 소개하고자 한다.인천산학융합원은 지난 2017년 4월 11일 산학융합지구 조성 사업으로 설립해 산업 현장의 R&D, 인력양성, 고용 등의 선순환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현장 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시스템 도입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인천광역시, 인하대학교, 인천테크노파크,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인천지역 140여개 관련 기업이 참여했다. 근로자의 평생 교육 확대, 근로생활의 질 향상을 목표로 생산 중심 산업단지를 생산과 교육, 문화 등 복합공간으로 재창조가 목적이다.주요 사업은 근로자평생학습, 현장맟춤형교육, 중소기업역량강화 등의 산학융합지구촉진사업, 메탈 3DP 과정, 애프터마켓(MRO)과정의 항공우주전문인력양성사업 등이 있다.또한 수송급(Part 25) 항공기 개발사업, 미니클러스터사업, 메탈 3DP 과정, MRO 과정 등의 소재부품장비 스마트 촉진 인력양성사업, ICAO AMO 국제인증체계 대응 연구 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이중 항공우주전문인력양성사업은 기종한정교육, 정비영어교육, 특수교육 및 전문가 특강 등의 강의로 구성돼 있다. EASA Part147 제작사 인증 해외교육기관 위탁 과정을 운영한다.수송급(Part 25) 항공기 개발사업은 국제공동개발 체계 구축, 단계별 다부처 기획사업 방안 제시, 수요기반 분석 및 인증체계 구축, 수송급 항공기 개발 및 인증체계 구축의 기술적, 경제적 분석 등이 특징이다.▲ 항공우주융합캠퍼스 및 인천산학융합원(출처 : 홈페이지)
-
2021-03-05캐나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딥그린메탈(DeepGreen Metals)에 따르면 C$ 29억 달러에 인수돼 상장된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인 Sustainable Opportunities Acquisition가 매입한다. 이번 거래는 Maersk Supply Service 및 Glencore와 같은 기존 전략 투자자에 추가해 이뤄진다. 특히 Allseas와 함께 하는 투자자들로부터 3억3000만 달러의 민간 투자가 단행된다.딥그린 메탈은 밴쿠버에 본사가 위치해 있다. 딥그린 메탈의 파트너로는 덴마크 해운회사인 Maersk와 스위스 해양 시추회사인 Allseas Group SA가 있다.이와 같은 협력을 통해 딥그린 메탈은 심해에서 발견되는 폴리 메탈릭 암석에서 금속을 생산해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배터리에 사용할 계획이다.딥그린 메탈의 상장을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금속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노무라 그린테크와 시티가 딥그린 메탈의 재정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딥그린 메탈(DeepGreen Metal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3D 프린터 제조업체인 데스크탑 메탈(Desktop Metal)에 따르면 스튜디오 시스템(Studio System)을 통해 순수 구리로 3D 프린팅을 개발했다.매사추세츠주 벌링턴시(Burlington, Massachusetts)에 위치한 이 회사는 Trine Acquisition Corp와 거래를 통해 US$ 25억 달러 가치로 상장된 바 있다.일반적으로 기존 레이저 기반 적층가공 공정에서는 크롬 지르코늄 구리 기반(chromium zirconium copper-based) 금속이 사용된다.구리는 중공업과 소비자 제품에 대한 열교환기, 전기 부품과 같은 다양한 산업 및 응용 분야에서 매우 바람직한 재료이다. 구리는 열 및 전기 전도성이 탁월하기 때문이다.데스크 탑메탈의 스튜디오 시스템은 바운드 증착 프로세스(Bound Deposition Process)를 통해 모터 방열판과 같은 복잡한 열교환기가 구리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또한 로컬 고전류 배전에 사용되는 버스 바(Bus bars)는 코어를 통과하는 냉각 채널이 있는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구리의 열전도율 값은 열이 버스 바에서 냉각수(the coolant)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구리 재료를 이용한 3D 프린팅이 더욱 더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USA-DesktopMetal-3Dprint▲ 데스크탑 메탈(Desktop Metal)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8-31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기업인 에너베뉴(EnerVenue)에 따르면 US$ 120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해 메탈 수소 배터리 시장에 진출했다.일반적으로 메탈 수소 배터리는 화재나 열 폭주 위험이 없으며 독성 물질도 포함하지 않는다. 메탈 수소 배터리가 극심한 더위와 극심한 추위 조건에서 성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특히 니켈 수소 배터리는 항공우주산업에서 엄청나게 강력한 에너지 저장기술로 꽤 오랫동안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광범위한 적용에는 제한이 있었다.에너베뉴는 새로운 저가 재료를 활용해 획기적인 경쟁력 있는 가격을 확보했다. 기술개발을 통한 그리드 규모의 에너지 저장을 위해 EEnotech와 협력했다.에너베뉴의 배터리 수명은 30년 이상이고 성능 저하없이 3만회 이상 충전을 지속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탁월한 과충전, 과방전 및 딥 사이클 기능이 제공된다.향후에 이 회사는 유틸리티 및 대형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대규모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저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방침이다.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대규모 재생 및 저장 애플리케이션용으로 개발된 메탈 수소 배터리 저장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USA-Enervenue-Battery▲ 에너베뉴(EnerVenue)의 로고(출처 : 홈페이지)
-
독일 3D 프린팅 스타트업 기업인 헤드메이드머티리얼즈(Headmade Materials)에 따르면 저비용 금속 3D 프린팅으로 €190만유로의 투자를 받았다.BTOV 파트너스의 산업기술 펀드(Industrial Technologies Fund of btov Partners)로부터 투자받았다. 이 펀드는 스타트업 기업의 혁신적인 기술을 확장하고 마케팅 및 고객 개발에 투자된다.금속 부품의 3D 프린팅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고비용 및 저출력으로 그 성장이 제한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콜드메탈퓨전(Cold Metal Fusion)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해당 기술을 이용하면 금속 부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3D 프린팅 할 수있다. 또한 설계, 부품 제조 및 프로세스 통합이 가능하다. 연간 최대 100,000개의 3D 프린팅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번에 확보된 자금을 통해 개발을 가속화하고 3D 시리즈 생산에 대한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참고로 헤드메이드머티리얼즈는 독일 뷔르츠부르크(Würzburg)에 위치한 폴리머 연구소인 SKZ로부터 분사했다.▲ Germany-HeadmadeMaterials-3Dprint▲ 헤드메이드머티리얼즈(Headmade Materials) 홈페이지
-
2019-09-11일본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도요타(Toyota Motor Corp.)에 따르면 태국에서 하이브리드 차량 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시작했다.친환경 자동차의 전원 소스에 지속 가능한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다. 니켈 메탈 하이드라이드 배터리를 비-차량용 저장셀로 활용하고 미네랄을 추출해 일본에서 새로운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다.도요타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배터리 수명주기 관리 프로젝트에 따라 방콕 동쪽 차청사오(Chachoengsao province)공장에서 사용한 배터리를 수집 및 검사한다.사용한 배터리는 열화 정도에 따라 3가지 사용 유형으로 분류된다. 손상된 배터리에서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니켈과 코발트와 같은 재사용 가능한 원료를 추출하기 위해 일본으로 운송한다.이 프로젝트를 통해 하이브리드 배터리의 비용을 크게 줄이고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미래의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에 대비한 탄탄한 토대를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Japan-Toyota-batteryrecycling▲ 도요타(Toyota Motor Corp.)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6-11캐나다 에너지업체인 셀큐브(CellCube)에 따르면 자회사인 에너큐브(Enercube)가 첫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국제 판매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의 금속재활용시설로부터 $C 70만달러(CND)의 구매 주문서를 받았다.이번 계약은 38kV 실외정격 (NEMA 3R) 메탈 피복 스위치 기어를 설계, 제조, 테스트 및 공급하는 국제계약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전기 개폐 장치, 모터 제어 스위처, 태양광 인버터 및 바나듐 축전지가 있다.특히 에너큐브는 파이프라인 회사, 정유소, 제조업체, 지자체 및 인프라 제공업체에게 혁신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10년 이상 제공해왔다. 에너큐브의 엔지니어링팀은 고객담당자와의 협력을 통해 최적의 비용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업계 선도적이고 혁신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전력 제어시스템 액세서리를 공급하고 있다.참고로 셀큐브는 바나듐 산화환원 유동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이다. 신재생에너지 개발 붐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형태의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Canada-cellcube-energystorage▲ 셀큐브(CellCube)의 에너지 저장장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시장조사기업인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 Inc.)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글로벌 3D 프린팅 금속시장이 $US 30억5000만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율은 31.8%로 예상된다.제조 부분에 3D 프린팅의 적용 증가, 3D 소재 프린팅의 R&D 투자 증가로 제품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항공우주 산업 및 방위 산업은 매출 측면에서 3D프린팅에 의한 납기시간 단축, 주문제작 수요의 증가로 연평균 34.2%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티타늄 부분은 높은 내식성, 높은 인장강도 및 낮은 밀도의 특성으로 2017년 매출액의 63.0%를 점유했다. 2017년 아시아 태평양지역 3D 프린팅 금속시장은 7970만달러 규모로 성장했다.중국과 일본이 주요 시장으로 급성장했다. 특히 금속 부품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금속분말의 우수한 품질로 2017년 분말 분야가 3D 프린팅 금속시장의 약 92.6%를 차지했다.▲ Grand View Research▲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 Inc.) 홈페이지
-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하이브리드(HV)용 리튬이온전지의 재활용망을 정비한다고 발표했다.하이브리드차는 국내보유대수의 약 8%까지 도달해 20년 이후에 폐기차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도호쿠대학 및 일본중화학공업과 연계해 전지에 있는 레어메탈을 저가에 재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혼다는 2017년 봄까지 리튬이온전지를 대상으로도도부현에 관계없이 환경부로부터 산업폐기물을회수하고 처리할 수 있는 '광역 인증'을 획득한다고 밝혔다.자동차업체가 국가의 인증을 취득하고 자사제품의 폐기물을 전국에서 모으는 것은 이번이 최초로 재자원화를 연구하는 도호쿠대학과 연계해 일본중화학공업에 소규모의 실증플랜트를 설치할 계획이다.향후 3년 정도를 목표로 잡고 있으며 비용을 일반적인 소각처리 이하로 억누르면서 고순도로 자원을 뽑아내는 기술을 확립한다.전지를 태우지 않고 방전시켜서 전해액을 분리하고 레어메탈 함유량의 80% 정도를 회수해 니켈수소전지의 원료 등으로 재이용하는 방법이다.기술이 확립되면 전국에 회수장치를 설치하고 처리·재생비용을 일반적인 소각처리 대비 동급 이하로 만들어서 사업화로 연결하는 것이 주요 목표라고 설명했다.하이브리드차는 1997년 도요타자동차가 양산형을 발매한 후 좋은 연비효율로 보급이 시작됐다. 국내승용차 보유대수는 2015년 3월 기준 468만대로 2010년 대비 5배 증가했다.혼다의 하이브리드차가 국내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2015년에 27%로 향후 폐차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자사에서 재활용체제를 정비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면으로 확대하고 환경부문에도 공헌할 방침이다.▲ 1▲혼다 하이브리드카 어코드(출처 : 혼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