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시험 드론 배달"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 드론 배송거점[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이대성)에 따르면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으로 지자체별 지역 특성 맞춤형 드론 활용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은 2019년부터 국토교통부의 주관으로 항공안전기술원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등을 발굴해 공공서비스에 적용하는 사업이다.2023년까지 총 40개 지자체를 지원했으며 드론 활용사업의 가능성을 넓히고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모델의 시험·적용을 돕고 있다.‘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을 통해 발굴한 드론 활용 비즈니스 모델을 다수의 지자체에서 행정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민 일상의 편리성을 높여주고 있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성과(연도별 드론 실증도시 지자체 표)[출처=항공안전기술원]또한 2024년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 추진계획’에 따라 15개의 지자체를 지원하고 있다.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 추진계획’은 드론 배송의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2023년 12월 발표했다. ‘K-드론배송 상용화 표준모델’과 ‘K-드론배송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됐다.이는 드론의 배송거점과 배달점* 등 인프라 구축과 인프라 시설에 기반한 배송 비행로 설계와 더불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비행테스트를 거쳐 드론 배송 안전관리시스템까지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GPS 좌표 도출, 드론배송거점(센터) 및 배달점 시설물(이·착륙장, 물류 시설 등) 설치이에 따라 이번 드론 배송 상용화를 수행하는 14개 지자체에서는 섬·공원·항만으로 구분한 배송거점과 배달점 지정, 배송 비행로 설계 및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8월부터 본격적으로 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을 개시하고 있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 성과(실증도시별 드론 활용 서비스 표)[출처=항공안전기술원]드론 배송 상용화를 수행하는 14개 지자체는 제주·전남 여수·경남 통영(섬 배송), 경기 성남·경기 포천·충남 공주(공원 배송), 부산(항만 배송) 등이다.현재 항공안전기술원은 그간의 실증도시 구축사업을 통해 성남, 인천, 서산, 울주, 제주, 김천 등에서 드론 배송뿐 아니라 환경감시·안전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지자체의 행정서비스에 드론을 직접 활용하고 있다.이러한 성과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내 드론 기술에 대한 국제적 인식도 긍정적인 시선으로 이끄는 등의 결실을 맺었다.경제적 성과로는 2023년 연말 기준 19개 드론 기업이 약 312억 원의 수출을 달성했으며 미국(203억 원), 캐나다(42억 원), 유럽(14억 원) 등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주요국에서도 국내 드론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해외 진출 성과로는 2023년 말 기준 항공안전기술원이 우즈베키스탄·체코·콜롬비아 등과 총 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드론 기업 25곳에서 95건의 MOU 등을 체결 완료해 해외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이대성 항공안전기술원장은 “정부가 드론 산업 활성화를 2018년부터 시작해 국내 드론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과정 중에 있으며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드론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고 있다. 앞으로도 신규 드론 활용 모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기술력을 고도화해 글로벌 드론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기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2021-12-30스페인 발렌시아시(city of Valencia)에 따르면 발렌시아 폴리텍대(UPV,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encia)와 무인 항공기 고속도로를 구축할 계획이다.드론 고속도로는 초기 의약품 배달과 같은 서비스에 활용된다. 향후에는 에어택시와 같은 여객 수송을 위해 운용할 방침이다.또한 시 관계자와 스페인 영공을 관리하는 이네어(Enaire)는 드론 항로와 국가 그리드간 통합을 위한 의정서에 사인했다. 기존 항공기와 드론, 기타 도심항공교통(UAM) 항공기 등이 포함된다.의료 및 물품 배달과 같은 초기 계획된 운영은 완전한 영공 규제 검토없이 서비스가 시행된다. 향후 여객 수송용 항공기 운항으로 확장할 계획이다.신규 드론 고속도로는 발렌시아시가 자체 운영을 하며 주변 지역 기존 회랑 3곳과 함께 운영된다. 발렌시아시 서쪽 시에테 아구아스(Siete Aguas) 비행장의 테스트 시설과 북쪽 카스텔로(Castello) 대형 비행장, 알리칸테(Alicante) 인근 남쪽 뮤트사멜(Mutxamel) 공항과 연결된다.새로운 드론 고속도로는 발렌시아시 자체 내부에서 시작되며 이들로부터 분기되는 2차 회랑은 시험 중에 있다. 향후 2023년~2025년 사이 완공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계획이다.따라서 스페인에서 운용되는 모든 드론은 2023년 1월까지 영공을 관리하기 위해 지정된 시스템에 드론의 위치와 경로를 전송해야 된다.▲ 발렌시아 폴리텍대(UPV,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encia) 홈페이지
-
2021-06-15일본 패스트푸드체인 요시노야(Yoshinoya)에 따르면 가나가와현에 소재한 요코스카시립병원에 규동 메뉴 2종을 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드론은 요시노야 이동식 푸드트럭에서 요코스카시립병원 옥상까지 약 5.2km 거리를 이동했다. 요리한 규동을 포장한 후, 드론에 싣고 배송하는 데 약 10분이 소요됐다.양사가 드론 배송 실험을 진행한 것은 병원 주변에 운영되고 있는 식당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요코스카는 발전된 도시이지만 병원 주변에는 식당이 많지 않다.코로나-19 발생 이후 축소된 형태로 식당 영업이 이뤄지면서 병원 직원들의 메뉴 선택 범위도 좁아졌다. 기존 육상 배송은 가능했지만 식당과 멀리 떨어져 있어 음식이 대부분 식었다.드론 배송 실험으로 알게 된 점은 육상 배송에 비해 시간이 상당히 절약되고, 음식의 보온성도 더 잘 유지됐다는 것이다. 한 번에 배달할 수 있는 양도 최소 4인분으로 적지 않았다.이번 드론 배송 서비스에 협력한 회사는 요시노야를 포함해 배달앱 서비스업체인 데마 캔(Demae-can), 드론설계회사인 에어로넥스트(Aeronext), IT개발사인 엑세스(Access)이다.요시노야 관계자는 “음식을 드론으로 배송하면서 음식물이 흐르거나 하는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정식 서비스로 채택한 것은 아니고 지금은 시험 단계이다”라고 말했다.▲에어로넥스트(Aeronext)의 드론 배송 시험 소개(출처 : 홈페이지)
-
2021-05-07인도의 저가항공사이자 드론물류업체인 스파이스젯(SpiceJet)에 따르면 최근 드론을 활용한 코로나 백신 운송과 함께 식품도 배송 실험에 포함할 계획이다.인도 정부는 드론의 비시가권(BVLOS) 시험 운행을 20개 업체에 한해 승인한 바 있다. 여기에 스파이스젯이 포함됐고 원거리 배송 테스트에 식품을 추가한 것이다.레스토랑 및 요식업계도 스파이젯 등 동종업계의 이 같은 행보에 찬성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방문고객을 배달고객으로 메울 수 있기 때문이다.교통 인프라가 원활하지 못한 인도의 특성상 드론으로 식품을 배달하면 배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다만 배송 구간을 고려해 직접 배송 또는 허브 앤 스포크(hub-and-spoke) 방식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허브 앤 스포크는 종합터미널이나 물류창고의 유통 방식과 유사하다. 특정 거점을 중심으로 배송용 드론이 물품을 출하하고 다시 출고했던 장소로 복귀하는 것이다.아직 인도에는 옥상 등 명확하게 지정된 드론 착륙점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전기선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어 드론의 운행로가 막히기 쉽다.드론 배송은 기술이 발전되고 정부의 승인을 획득한다고 곧바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다. 주변 환경을 고려한 현실적인 운영 방식이 충분히 검토돼야 하는 이유다.스파이스젯 관계자는 “최종 고객에게 배송하는 ‘라스트 마일(Last-mile)’ 방식은 계속 검토 중이다”라면서 “장거리 배송에는 중간 거점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스파이스젯이 운영하고 있는 인도 내 물류 거점(출처 : 스파이스젯 홈페이지)
-
2021-05-05미국 대형식료품소매업체 크로거(Kroge)에 따르면 소형 드론으로 식료품 배송 서비스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크로거 경영진은 드론 배송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드론배달 서비스업체인 드론익스프레스(Drone Expres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배송에 사용될 드론은 최대 2.2kg 중량의 제품을 실을 수 있다. 다만 이번 실험에서는 번들형 제품만을 운반하는 것으로 계획됐다.예를 들어 유아용 케어제품이라면 단일 상품이 아닌 물티슈, 분유, 로션 등이 함께 묶인 번들형 제품이 대상이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 배송을 실험하기 위한 목적이다.배송 지역은 스마트폰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가능하다. 자택이 아닌 공원 등 야외에서도 제품을 받아볼 수 있다.크로거 배송 서비스팀은 5월 첫째주 내로 오하이오주 센터빌에 소재한 매장 근처에서 첫 시험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참고로 크로거는 1883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장수 소매기업이다. 2020년 하반기 기준 2920여개의 슈퍼마켓을 운영하고 있다.▲미국 텍사스에 소재한 크로거 매장(출처 : wikipedia)
-
2019-03-15일본 인터넷 서비스업체인 라쿠텐(楽天)에 따르면 무인 배달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중국 온라인 소매업체인 징동몰(京东商城, JD.com)과 제휴했다.드론이 무거운 짐을 더 먼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드론을 이용해 물류 분야에 진출한 이후, 라쿠텐은 드론을 테스트하고 여러 회사 및 도시와 협력해 시험적으로 배달서비스를 제공해왔다.이번 제휴를 통해 라쿠텐은 드론을 이용해 최대 5킬로그램의 제품을 최대 16킬로미터 거리까지 배달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고성능 드론에 대한 징동몰의 전문기술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라쿠텐은 거주 지역에서 최대 50kg까지 운반할 수 있고 15km/h의 최대 속도로 이동할 수있는 징동몰의 바퀴 달린 배달로봇을 도입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라쿠텐은 무인 배달서비스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에서도 전자상거래업체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면서 배송효율을 확대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전개 중이다.▲ Japan-Rakuten-Drone▲ 라쿠텐(楽天)의 무인 배달장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2-19캐나다 드론배달업체인 드론딜리버리캐나다(Drone Delivery Canada, 이하 DDC)에 따르면 최신 화물운송 드론인 팰콘(The Falcon)의 테스트를 시작했다.DDC는 전자상거래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한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화물용 드론의 개발을 시작했다. 특히 화물용 드론은 다중 패키지 적재공간(multi-package payload compartment)이 필요하다.팰콘은 전기 추진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DDC의 스패리우(Sparrow) 드론의 형제에 해당된다. 팰콘은 22kg의 적재 능력과 60km의 주행 거리를 자랑한다.팰콘은 약 12피트의 날개 길이를 갖고 있으며 시속 50km의 속도로 60km를 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중 패키지 탑재부는 약 5입방 피트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팰콘은 약 1년 동안 개발 중이며 온타리오주 남부에서 시험을 시작하기 위해 캐나다 교통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테스트가 완료되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게 되면 팰콘을 이용한 수송능력의 향상이 기대된다.▲ Canada-DroneDeliveryCandada-drone▲ 드론딜리버리캐나다(Drone Delivery Canad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택배 대기업 순펀홀딩스(順豐控股, S.F. Holding)에 따르면 자회사 Jiangxi Fengyu Shuntu Technology가 중국민항국 화둥지구 관리국으로부터 드론 항공시험 운항 허가증을 교부받았다.중국 내 최초로 드론 물류배송이 법의 적용을 받아 운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순펀은 최종 소비자에게 드론으로 배달하는 실용화 단계를 추진하고 있다.정부는 드론 물류에 관련된 법을 정비해 스마트 드론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만들 에정이다. 중국 내에서 육로교통 등이 불편한 지역에 물류드론을 활용해 서비스 제공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China_SunFun Holding_Logo▲순펀홀딩스(順豐控股, S.F. Holding) 로고
-
미국의 글로벌 피자프랜차이즈기업 도미노피자(Dominos)의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상업적으로 처음 드론을 활용해 피자배달에 성공했다.북섬 오클랜드의 북부도시 황가파라오아(Whangaparaoa)에서 2016년 11월 17일 오전 11시 19분 도미노피자 매장에서 치킨&크랜베리 피자를 실은 드론이 날아 올라 2분~3분만에 주문한 고객의 마당에 도착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