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터미널"으로 검색하여,
2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4-18영국 정부에 따르면 독일과 해저 전력 케이블 건설 프로젝트인 '뉴커넥트(NeuConnect)'를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함이다.이번 프로젝트는 양국이 수행하는 최대 규모의 양방향 에너지 프로젝트다. 양국은 15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양방향으로 수송할 방침이다. 양국을 잇는 전력망 길이는 450마일에 달한다. 빌헬름스하펜(Wilhelmshaven)에 있는 독일 송전망과 아일 어브 그레인(Isle of Grain)에 있는 영국 송전망을 연결한다.2025년 완료되면 최대 1.4기가와트의 전기를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5억파운드 규모의 뉴커넥트 프로젝트는 이탈리아 프리즈미언(Prysmian)이 수주됐다. 독일 기업인 지멘스 에너지(Siemens Energy)는 송전망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상호연결체의 양쪽 끝에 2개의 컨버터 터미널 건설을 맡았다. 케이블을 따라 전기를 전송하는 동안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 뉴커넥트 프로젝트 비용은 프랑스 Meridiam, 독일 Allianz Group, 일본 Kansai Electric Power 등을 포함한 투자자 컨소시엄이 부담한다. 2022년 연말 이전에 착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과 독일 간의 전력 연결로 유럽 전력시장의 통합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경을 초월한 효율적인 전력 연결은 탈탄소화를 위한 각국 정부의 노력에 보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국 정부 로고
-
2022-04-04일본 국제공항인 나리타공항(成田空港)에 따르면 저가항공사(LCC) 전용 터미널 확장을 완료했다. 높아진 저가항공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저가항공사 전용 제3 터미널은 140억엔이 투자돼 확장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플로어가 이전의 1.5배 확장됐으며 1층은 도착 공간, 2층과 3층에는 출발 공간이 위치한다. 2층 출발 로비는 이전보다 2배 넓어져 자동 체크인 기계와 수하물을 맡기는 기계 등 60대가 설치됐다. 인접하는 제2 터미널에도 접근 통로를 신설해 이동시간을 6분 정도 단축했다. 2층의 출발 로비는 4월 21일부터, 접근 통로는 4월 5일부터 운용이 각각 시작된다. 공항의 접근성과 편리함을 강화해 고객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나리타공항(成田空港) 로고
-
2022-03-30일본 도쿄역(東京駅)에 따르면 2022년 9월 17일부터 고속버스터미널인 버스터미널 야에스(バスターミナル東京八重洲)를 부분 오픈할 계획이다. 공식 오픈은 2023년 3월로 예정돼 있다. 국내 주택을 담당하는 공립 독립 행정기관인 UR도시기구(UR都市機構)와 버스 운영회사인 게이오 전철버스(京王電鉄バス)가 도쿄역 야에스구치를 운영한다. UR도시기구는 정비 사업을 맡으며 게이오전철버스가 운영을 담당한다. 구역은 1기에서 3기로 구분되며 9월에 1기 구역을 부분 오픈하는 것이다. 현재 도쿄역 주변에서 JR의 고속버스만이 야에스구치 앞의 버스터미널에 집중돼 있다. 그 외 고속버스정류장은 고객 이용이 불편한 것으로 조사됐다. ▲UR도시기구(UR都市機構) 로고
-
2022-03-30일본 부동산 기업인 미쓰이 부동산(三井不動産)에 따르면 2022년 9월 17일 도쿄 미드타운 야에스(東京ミッドタウン八重洲)를 선행 오픈할 계획이다. 정식 오픈은 2023년 3월로 예정됐다. 해당 복합건물은 도쿄역 야에스 구치 앞에 건설 중이다. 선행 오픈 구역은 지하 1층의 13개 점포이다. 도쿄 미드타운 브랜드의 3번째 건물이다. 음식점 점포는 THE CITY BAKERY, 스타벅스 커피(スターバックスコーヒー), TASU+, PARIYA DELICATESSEN 등 9곳이 출점한다. 그외에도 편의점과 물품 및 서비스 점포가 출점한다. 지하 2층에 정비될 도쿄 터미널 야에스는 도쿄역 주변에 분산된 고속버스 터미널을 집약해 국내 최대의 버스터미널이 될 전망이다. 지하 1층에서 지상 3층까지의 상업시설을 구축해 이용자 친화성을 높일 방침이다. ▲미쓰이 부동산(三井不動産) 로고
-
2022-03-23이탈리아 석유 및 에너지 기업인 에니(Eni)에 따르면 2022년 3월 20일 이후 나이지리아 남부에서 원유와 가스 수출을 재개하기 시작했다.2022년 3월 14일 폭발과 유출로 나이지리아 남부 바이엘사(Bayelsa)주에 있는 에니 브라스(Brass) 터미널에서 1일 2만5000배럴의 원유와 가스의 수출이 줄어들었다.에니의 현지 자회사인 나이지리아 아지프 오일 컴퍼니(Nigerian Agip Oil Company, NAOC)는 폭발 사고 직후 사고의 원인은 회사가 통제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문제였다고 발표했다.이러한 불가항력적인 문제는 계약상의 의무를 제외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이 있다. 이후 회사는 즉각적으로 파손된 파이프라인의 수리를 완료했다.에니는 2022년 2월 28일 Obama 플로우 스테이션에서 발생한 사고로 5000배럴의 생산 부족이 발생한 이후 3월 14일 2번째 폭발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에니는 나이지리아 국내 남부 유전들 및 파이프라인에서의 파괴, 도난 등은 매우 흔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현지 주민이나 범죄단체가 석유를 도둑질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을 파괴하고 있기 때문이다.▲에니(Eni) 로고
-
일본 국제공항인 나리타국제공항(成田国際空港)에 따르면 2022년 2월 14일부터 로컬 5G 등을 활용한 자율주행 버스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2022년 2월 28일까지 진행된다. 해당 시범 사업은 민간통신회사인 KDDI와 전기통신회사인 동일본전신전화(NTT東日本), 딥데크 스타트업인 Tier IV Inc(ティアフォー)와 협업한다. 노동 인구의 감소에 따라 다양한 이동 및 물류 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해결책의 하나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할 방침이다. 제한구역 내의 터미널 간의 버스 루트의 일부를 자율주행한다. 실증실험을 통해 인력 부족에도 대응하며 차량 사고 리스크를 경감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나리타국제공항(成田国際空港) 로고
-
2022-01-27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Calgary) 시에 따르면 시가 소유하고 있는 전력회사인 엔맥스 파워(Enmax Power)의 전기자동차(EV) 충전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2022년 1월 마지막주 기준 향후 5년간 설계, 설치, 전기 업그레이드, 운영 및 유지보수 등에 총 C$ 26만4000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다.캐나다 연방정부 산하 천연자원부는 10만달러, 엔맥스 파워는 12만달러, 캘거리 시정부는 4만4000달러를 각각 지출하기로 결정했다. 자치단체의 탈탄소 사회 목표를 지원하는 일환이다.캘거리 주민들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더 많은 충전소 및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0개의 레벨 2 충전기를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및 레저 센터, 전철역, 열차역, 버스터미널 등의 인근 주차장에 설치한다. 레벨 2 충전기는 레벨 1 충전기의 4~12배 속도로 충전할 수 있다. 보통 가정용 콘센트에 연결되는 저속 충전기는 레벨 1 충전기이다. 레벨 2 충전기 또는 급속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레저센터 및 주차장은 다음과 같다. Chinook park and ride, Brentwood park and ride, Sirocco park and ride, McKnight-Westwinds park and ride, Southland Leisure Centre, Village Square Leisure Centre, Thornhill Aquatic & Recreation Centre 등이다.▲캘거리 시 교통부(Calgary Transit)의 주차장 전경(출처 : 캘거리 시 홈페이지)
-
2022-01-04영국 수퍼마켓 운영기업인 테스코(Tesco)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국내에서 최초로 완전 전기 대형트럭(HGV) 상용화를 시작할 계획이다. 2대의 37톤 완전 전기 대형트럭(HGV)은 카디프(Cardiff)의 철도화물터미널에서 30마일 떨어진 테스코 물류 허브인 웨일스에 있는 마고르(Magor) 물류센터로 화물을 운송할 예정이다.1회 충전으로 100마일을 주행할 수 있어 왕복거리가 짧은 노선에 투입한다. 향후 어떻게 더 많은 완전 전기 대형트럭(HGV)을 운행할 수 있을지 시험하기 위한 목적이다.완전 전기 대형트럭(HGV)은 네덜란드 차량제조사인 DAF가 제작했다. 연간 약 87.4톤의 CO2 배출량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대형트럭(HGV)은 현재 온실가스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문인 국내 교통에서 배출되는 모든 배출량의 16%를 차지한다.무거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고용량 배터리 무게와 장거리 운송과 같은 사용범위 요구사항 등으로 인해 대형트럭(HGV)은 승용차보다 완전 전기 차량으로 전환하기 어렵다.▲테스코(Tesco) 홈페이지
-
2021-06-10독일 석유화학 저장물류서비스업체 오일탱킹(Oiltanking)에 따르면 덴마크 코펜하겐에 소재한 석유화학 터미널의 안전 검사를 보완하기 위해 드론을 투입하고 있다.현재 코펜하겐 석유화학 터미널에는 56개에 달하는 대형 석유탱크가 운영되고 있다. 최대 46만입방미터에 달하는 연료를 안전하게 처리하고 저장하려면 실시간 검사는 필수다.오일탱킹은 프랑스의 감시용 드론 개발업체인 아주르(Azur Drones)와 파트너쉽을 체결해 아주르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검사 인력이 수행하던 터미널 안전 관리 업무를 드론으로 보완하는 것이다.아주르 드론은 완전자율비행 시스템 스카이테크(Skeyetech)와 열화상카메라로 24시간 보안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GPS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관리자의 정기 검사 및 비디오 감시 업무를 보조한다.오일탱킹은 드론 업무량이 증가하면서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존 현장 업무와 통합한 소프트웨어를 구축했다. 덴마크 민간항공국(DCAA)의 승인으로 코페하겐 터미널 제어실에서 모든 드론을 통제할 수 있다.오일탱킹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력 간 수행하던 검사 업무를 드론이 상당 부분 대체하고 있다”면서 “안전성은 물론 업무 효율성까지 향상돼 매우 만족한다”라고 밝혔다.▲오일탱킹에서 운영하는 석유화학 터미널 현장(출처 : 홈페이지)
-
2021-05-07인도의 저가항공사이자 드론물류업체인 스파이스젯(SpiceJet)에 따르면 최근 드론을 활용한 코로나 백신 운송과 함께 식품도 배송 실험에 포함할 계획이다.인도 정부는 드론의 비시가권(BVLOS) 시험 운행을 20개 업체에 한해 승인한 바 있다. 여기에 스파이스젯이 포함됐고 원거리 배송 테스트에 식품을 추가한 것이다.레스토랑 및 요식업계도 스파이젯 등 동종업계의 이 같은 행보에 찬성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방문고객을 배달고객으로 메울 수 있기 때문이다.교통 인프라가 원활하지 못한 인도의 특성상 드론으로 식품을 배달하면 배송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다만 배송 구간을 고려해 직접 배송 또는 허브 앤 스포크(hub-and-spoke) 방식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허브 앤 스포크는 종합터미널이나 물류창고의 유통 방식과 유사하다. 특정 거점을 중심으로 배송용 드론이 물품을 출하하고 다시 출고했던 장소로 복귀하는 것이다.아직 인도에는 옥상 등 명확하게 지정된 드론 착륙점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전기선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어 드론의 운행로가 막히기 쉽다.드론 배송은 기술이 발전되고 정부의 승인을 획득한다고 곧바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다. 주변 환경을 고려한 현실적인 운영 방식이 충분히 검토돼야 하는 이유다.스파이스젯 관계자는 “최종 고객에게 배송하는 ‘라스트 마일(Last-mile)’ 방식은 계속 검토 중이다”라면서 “장거리 배송에는 중간 거점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스파이스젯이 운영하고 있는 인도 내 물류 거점(출처 : 스파이스젯 홈페이지)
1
2
3